Jump directly to the Content

News&Reporting

통일에 무관심한 한국의 젊은 그리스도인들

“평생 교회에서 남북한 통일이나 평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없다.”
|
English
통일에 무관심한 한국의 젊은 그리스도인들
Image: 안영준 / AP 이미지
한 남성이 북한 국경 근처 남한의 철책에 남북의 통일과 평화를 기원하는 태극기를 걸고 있다.

김솔가 씨는 한국의 인기 민요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부르며 자랐다.

가사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 정성 다해서 통일을 이루자 / 이 겨레 살리는 통일” 그러나 남북한의 평화와 통일을 간절히 염원하는 이 곡은 오늘날 한국 교회가 자주 부르는 노래는 아닌 것 같다.

인천에 사는 김 모 교사는 “한국에서 성경에 나오는 ‘평화’는 개인 내면의 평화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고, 교회에서 성경의 평화를 남북 관계와 연결해 설교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말했다.

그는 “평생 교회에서 남북한 통일이나 평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남북한은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이 끝나고 모든 군사력을 철수하고 적대 행위를 중단하며 전쟁 포로를 송환하는 휴전 협정이 체결된 이후 분단되어 있다. 그러나 남북한은 평화협정을 체결한 적이 없으며 엄밀히 말하면 여전히 전쟁 중이다.

올해는 정전협정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의 젊은 세대들은 통일된 한국의 일원이 되는 것에 점점 더 무관심해지면서 통일은 허황된 꿈처럼 보인다.

CT의 인터뷰와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기독교인들은 대체로 통일을 지지하지만, 통일을 이루는 방법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기독교인(한국에서는 MZ세대라고도 함)은 사회적, 경제적 압박으로 인해 통일에 대한 지지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교회 역시 성도들의 주요 관심사인 통일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인식이 부족하다.

그러나 일부 기독교인들은 언어 통합을 추구하거나 젊은이들에게 한민족을 향한 하나님의 마음을 교육하는 창의적인 교육 방식을 제공하는 등 오랜 꿈을 향해 구체적인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젊은 세대의 정서

2020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Z세대는 통일에 대해 “상대적으로 무관심”하고 북한 주민에 대한 호감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비율은 12%에 불과했다. 2021년 조사에 따르면 20대의 거의 절반(47.1%)이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답한 반면, 40대는 23.8%에 그쳤다.

CT가 국내 크리스천 채팅 그룹에 설문지를 보내 통일에 대한 Z세대의 생각을 물었을 때, 15세 서윤진 양은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통일이 되면 문화적으로는 좋겠지만 경제적, 이념적 대립으로 인해 많은 갈등이 예상된다”고 답했다.

“오히려 남한과 북한이 전쟁을 끝내고 분단되면 두 나라 관계가 더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남북한의 완전한 분단이 이상적인 결과라고 생각하는 청소년은 서 씨뿐만이 아니다. 많은 한국 젊은이들은 북한은 ‘가난하고 전체주의 국가’인 반면 남한은 ‘부유하고 민주적’이라고 생각하며, 이러한 경제적 격차가 잘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통일에 대한 기독교인의 태도에 대한 데이터는 없지만, 한국침례신학대학교의 성서신학 교수인 신인철 교수는 통일을 지지하는 MZ 기독교인의 비율을 약 20~25%로 추정하고 있다. 신 교수는 이 비율이 계속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통일을 위한 교회의 투자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저는 지금 57살입니다. 한때 교회는 통일이 필요하고 남북한은 하나의 국가라는 것을 강력하게 교육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교회가 통일에 관심이 없습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네번째강 청년교육국 남상득 국장은 이전 세대의 한국인은 통일을 민족적, 경제적, 정신적 의미가 담긴 과업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 세대는 여러 가지 이유로 남북한 통일을 위기로 여길 수 있다고 남 대표는 말한다. 첫째, 많은 한국 젊은이들은 신앙을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이 아닌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로 여긴다. 둘째, 기성세대는 공산주의 국가에 고향이 있는 반면, 이들은 대부분 북한에 발을 디딘 적이 없고 탈북자를 통해 북한을 접해보았을 뿐이다. 셋째, 교회의 일관성 없는 메시지로 인해 통일은 종교적 이슈가 아닌 정치적 이슈로 인식되고 있다.

CT가 인터뷰한 MZ 기독교인들은 남북한이 통일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하지만, 또래들 사이에 광범위한 무관심과 개인주의 성향이 존재하며 이는 지지층의 공허함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고 인정한다.

한양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27세 신 교수의 아들 동민 씨는 CT에 보낸 이메일에서 “통일에 대한 생각은 그저 생각 속에 머물러 있거나 대화 중에 가끔 언급될 뿐이며, 결국에는 ‘감사해야 한다’, ‘그들을 위해 기도해야 한다’, ‘통일은 중요한 문제다’라는 식으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남한 젊은이들도 비신도들과 마찬가지로 남한 사회의 바쁜 삶과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희생양이 되는 것 같아요.”

서울 유니온장로교회에 출석하는 영화감독 김선우 씨(27세)는 “주변 한국 젊은이들은 통일에 대해 큰 틀의 관점을 고려하기보다 개인의 필요를 먼저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 정치학과 강원택 교수는 “높은 실업률과 치솟는 부동산 가격 등의 문제로 생계가 벼랑 끝으로 내몰린 20대에게 통일 담론은 사치처럼 느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평화를 위해

기독교 신앙은 역사적으로 휴전 후에도 한국인을 계속 이어주는 유대감 중 하나였다. 크리스채너티 투데이는 1972년에 이렇게 기록했다:

분단 이전에는 한국 기독교인의 3분의 2가 북향민이었으며, 한국에서 가장 큰 교회 중 일부는 난민 교회였다. 피난민 중 가장 잘 알려진 사람 중 한 명인 서울 영락장로교회의 한경직 목사는 한국전쟁이 북쪽의 성공적인 해방으로 이어졌다면 북쪽의 1,500만 명 중 80%가 그리스도께로 돌아왔을 것이라고 말했다.

1988년과 1992년 사이에 한국인들은 평양에 두 개의 교회 건축을 도왔고, 2008년에는 교회 중 한 곳의 재건과 확장을 위한 자금을 지원했다고 세바스찬 김과 커스틴 김은 한국 기독교의 역사에 기록했다.

통일을 지지하는 가장 유명한 복음주의자 중 한 명은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한 장로교 목사이자 신약학자인 문익환 목사이다. “나는 평양에 가겠다”라는 유명한 시를 쓴 문익환은 실제로 평양에 갔다가 귀국 후 체포되어 남한 정치인들을 격분하게 했다.

북한 출신인 많은 나이든 기독교 지도자들은 공산주의 북한과의 관계에 회의적이었고, 김 목사 부부의 말을 빌리자면 “북한과의 어떤 타협도 강력히 반대했으며, 적극적 반공주의자였다”고 한다.

그러나 북한 정부에 대한 이들의 혐오는 국민들을 향하지는 않았다. 1980년대 말과 90년대 중반 북한에서 식량 부족과 기근이 발생했을 때 보수 기독교인들과 오순절주의자들은 북한에 수백만 달러의 원조를 보냈다.

1988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발표한 ‘민족의 통일과 평화를 위한 선언’을 계기로 ‘화해하는 기독교’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선언에서 1995년을 ‘희년의 해’로 선포한 것은 “통일 문제를 전면에 내세웠고, 보수주의자들조차도 전도에서 인도주의적 사업과 평화 만들기로 전환하도록 도전했다.”라고 기록한다.

“또한 희년은 토지 재분배에 대한 요청으로서 민주화 이후 복음주의 교회뿐만 아니라 진보적 교회의 관심사가 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정의를 위한 지속적인 투쟁과 연결되었다.”

한국 기독교의 역사가 밝히고 있듯이, 평화를 향한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한국 기독교인들은 통일을 어떻게 이룰 수 있을지에 대해 여전히 분열되어 있다:

통일에 대한 기독교의 접근 방식은 반공 캠페인과 선교 의제의 일환으로서의 통일(보수 기독교인), 남북한 간의 대화 촉진(진보 기독교인), 인도주의적 지원과 나눔 캠페인 참여(일부 보수 기독교인과 대부분의 진보 기독교인)의 세 가지 입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현재 캐나다 밴쿠버에 살고 있는 30대 후반의 송승훈 목사는 통일이 군사력이나 전쟁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북한이 파산해 갑자기 남한에 항복하는 동화 통일도 56년 동안 분단된 두 나라가 성공적으로 통일을 이룰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통일은 평화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 송 대표는 에베소서 2장 14절을 남북한 사이의 ‘장벽’을 허무는 방법에 대한 지침 구절로 인용했다: “그는 우리의 화평이신지라 둘로 하나를 만드사 원수 된 것 곧 중간에 막힌 담을 자기 육체로 허시고”

CT가 인터뷰한 다른 한국 기독교인들도 통일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평화에 대한 성경적 이해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성서신학 교수인 신 목사는 마태복음에 나오는 예수님의 가르침은 포용과 용서, 사랑을 통한 평화주의의 힘을 묘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CT가 인터뷰한 일부 한국 기독교인들은 남성이 의무적으로 군대에 가야 하는 오늘날의 상황에서 북한을 적으로 간주하는 법을 배우기 때문에 평화 통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신 목사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보여주는 것이 남북한 사이의 적대감과 증오심을 극복하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확신한다. “원수를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의 목적이 동족을 사랑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면 대결과 갈등의 고통을 반복하는 남북한 주민들에게 정서적 이데올로기가 될 수 있다.”라고 2020년에 발표한 논문에 기록했다.

미래 구상하기

한국의 일부 기독교인과 교회에게 통일은 먼 미래의 꿈이 아니라 매일 노력하는 현실이다.

여의도순복음교회는 탈북민들이 남한 사회에 통합될 수 있도록 돕는 ‘통일 교구’를 운영하며 탈북민들을 섬기고 있다. 한국이나 한인 디아스포라 출신 선교사들은 북한 국경과 가까운 중국에 거주하며 탈북민을 대상으로 사역하고 복음을 전하고 있다. 캐나다에서 한국인 목사로 사역하는 송 목사는 북한에 기독교 메시지를 라디오 방송으로 송출하는 극동방송에서 근무한 적이 있다.

인천의 김 교사는 남한 교회가 북한 이웃에게 복음을 전하는 방식에 대해 대부분 부정적인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 남한에 있는 탈북민들은 종종 기독교인이 되어 교회에서 간증을 나누도록 권유 받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금전적 보상”을 받기도 한다.

“탈북민들이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만남이 아닌 경제적 거래를 통해 교회와 관계를 맺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교회 밖에서는 일부 기독교인들은 자신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영역에서 통일을 옹호하기로 결심했다. 강보선 씨는 대구대학교 한국어교육과 조교수로 근무하며 남북한의 언어 차이와 통합을 연구하고 있다. 남북한의 경제적, 사회적 격차 외에도 언어 차이는 문화적 이질감을 더욱 심화시킨다.

예를 들어 남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성경 번역본은 개역개정판이지만, 북한은 1977년 남한의 개신교와 천주교가 함께 만든 성경전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God’이라는 단어는 남한에서는 하나님으로 표기되지만 북한 성경에서는 하느님으로 표기된다.”라고 강 대표는 말한다.

강 대표는 자신의 작업이 언어 통합을 위한 남과 북의 ‘분단’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님이 주신 비전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남북한 학자들과 협력하여 남북한 언어로 된 공동 용어 사전을 만들었는데, 이 아이디어는 한국 성경 번역가 문익환 목사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이 사전은 2013년에 출판될 예정이었지만, 남북 관계 악화와 팬데믹으로 인해 현재 프로젝트가 보류된 상태라고 강 목사는 말한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강 대표는 남한 학생들이 학교에서 남북 언어 차이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남북한 언어 차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통합해야만 남북한 주민들 간의 정확한 소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젊은이들을 교육하고 개혁하는 것 또한 네번째강의 청소년 교육 책임자인 남 대표가 우선순위로 삼고 있는 일이다. 남 대표는 현재 남한 학생과 탈북 청소년을 대상으로 캠프와 견학을 진행하는 ‘삼수령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금까지 약 1,000명의 12세에서 18세 사이의 청소년들이 이 센터를 방문했으며, 공립학교와 해외 거주 청소년들의 방문이 증가하고 있다고 남 이사는 말했다.

학생들은 그곳에서 “한반도의 역사와 아픔”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 땅을 향한 하나님의 마음은 분단된 땅이 아니라 통일된 땅이며, 이는 회복을 말한다”고 남 대표는 말한다. 또한 북한에서 사역했거나 북한을 방문한 선교사들을 만나 함께 기도 산행을 하기도 한다.

남 목사는 통일을 위한 사역을 하면서 몇 가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의 한국 크리스천들은 시간이 없습니다. 기독교와 교회에서 진행하는 통일 교육은 대부분 행사 위주입니다. 그리고 그 행사도 대부분 정보 전달이나 설교 위주의 집회입니다.”

2020년 문을 닫은 네번째강 사업의 ‘생명의 강’ 학교 출신 탈북학생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캠프를 운영하던 중, 한 탈북학생은 자신이 어디에서 왔고 어떻게 남한에 오게 되었는지 아무도 물어보지 않아 당황스러워했다. 생명의 강 학교의 한 학생은 “궁금하긴 한데, 그냥 여기 온 것만으로도 충분해요!”라고 대답했다.

“생명의 강 학교 학생들의 태도는 매우 감동적이었습니다. 탈북민이라는 특정한 시각으로 바라보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서로에게 마음을 열었습니다.”라고 남 대표는 말했다.

“에스겔서 37장에는 통일한국이 되기 위해 전제되어야 할 조건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즉 마른 뼈가 살아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마른 뼈와 같은 나와 내 가족, 교회가 영적 부흥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라고 남 목사는 말했다.

“그러므로 통일을 위해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은 기도와 사랑이 충만한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화감독 김선우 씨를 비롯한 남한 크리스천들도 남 대표의 희망에 찬 신념에 공감했다. “우리가 성령을 의지하고 성령을 통해 일하기로 선택한다면 성공적인 통일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습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한 영혼이 한 나라의 경제보다 더 소중하다고 믿습니다.”

Julian Chae와 Morgan Lee의 추가 보도

[ This article is also available in English. See all of our Korean (한국어) coverage. ]

April
Support Our Work

Subscribe to CT for less than $4.25/month

Read These Next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