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 성경적 성 역할, 즉 남성과 여성이 교회에서 어떻게 봉사하고 가정에서 서로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관심이 서구 교회, 특히 미국에 집중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크리스채너티 투데이는 비 서구 기독교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선교학자인 고든-콘웰 신학교의 스콧 W. 선퀴스트 총장에게 성별과 교회에 관한 전 세계적 맥락에 대해 물었습니다.

본 기사의 명확성을 위해 인터뷰가 간략히 편집되었습니다.

복음주의 교회에서 성 역할 논쟁의 용어는 어떻게 정의되어 왔나요?

두 가지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첫째, "복음주의"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 범주가 되었기 때문에 "복음주의 교회"에 대해 질문할 때마다 어떤 가족이나 전통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지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성 역할에 관한 '논쟁'의 대부분은 제 가족이 해외에 있을 때 일어났기 때문에 보완주의와 평등주의라는 단어에 대한 초기 논의가 형성되는 시기를 놓쳤습니다. 1980년대 후반에 퍼지기 시작한 새로운 개념이었죠.

이에 대한 복음주의적 논쟁은 남성과 여성의 역할에 관한 더 크고 광범위한 에큐메니칼 논의와는 매우 달랐습니다. 정교회는 여성 사제를 안수하지 않으며 로마 가톨릭도 마찬가지입니다. 개신교 주류 교회는 여성이 개척 사역을 주도한 위대한 선교 운동의 여파로 교회의 모든 직분을 여성에게 개방하기 시작했습니다. 오순절 운동 초기부터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역할을 인정한 오순절주의자들은 이러한 전통에 따라 20세기 초에 여성들이 교회를 개척하고 목회했습니다.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성 역할에 대한 양분화된("양자택일") 관점은 대부분 남침례교, 독립 침례교, 보수 개혁주의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 두 가지 성별의 명확성을 옹호하고 여성에게 허용되는 역할을 보완주의라는 단어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특정 담론은 현재 선교 사업을 통해 일부 수출된 미국식 접근 방식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혀야 합니다.

또한 미국과 전 세계에서 복음주의로 분류되는 모든 전통이 동일한 방식으로 논쟁의 틀을 짜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언급해야 합니다.

보완주의와 평등주의 논쟁은 미국(그리고 일반적으로 서구 교회)에서 큰 논쟁거리입니다. 교회에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에 대한 견해는 전 세계적으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을까요? 전 세계의 다양한 교회론적 신념에서 남성과 여성의 구별에 관한 성경 구절은 어떻게 나타나나요?

우리 모두 알다시피, 문화의 다양성(종교와 언어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은 하나님께 감사해야 할 아름다운 일입니다. 저는 운이 좋게도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기독교 지도자들을 가르치고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글을 읽게 되면 여성의 역할이 달라집니다. 복음은 여성에게 문해력과 교육을 제공하며, 이는 종종 이슬람, 힌두교, 불교 문화권에서 전통적인 여성 역할에 위협이 되기도 합니다. 여성들은 문해력을 통해 힘을 얻습니다. 자녀를 가르칠 수 있고, 질문하고 다른 사람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 세계 많은 문화권에서 기독교인 남성과 여성은 예배당의 다른 쪽에 앉고, 여성은 여성 쪽에서 아이들을 돌봅니다. 성 역할은 문화적인 것이지만 복음은 여성이 억압받는 문화권에서 여성에게 어느 정도의 자유를 가져다줍니다. 다르게 표현됩니다: 복음이 어떤 문화에 들어가면 그 문화는 모든 사람을 위한 더 큰 은혜와 온전함, 번영을 향해 나아갑니다. 문화는 타락했고 복음은 개인, 가족, 사회의 문화적 패턴을 바로잡습니다.

미국의 단일 민족 교회 내에서는 이와 어떻게 비교되나요?

이전 질문에 이어 다른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 미국에 오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상상해 봅시다. 한국(그리고 대부분의 중국) 교회는 1세대 유교 윤리와 사회 질서가 지배하고 있습니다. 유교 사회의 모든 사회 질서는 신하보다 황제, 자녀보다 아버지, 아내보다 남편 등 위계질서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교회에는 여성이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여성이 뒤에서 교회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긍정적인 측면은 한국인이 교회를 내 민족과 함께하는 내 교회로 이해하고, 기독교가 외래 종교가 아니며 문화를 바꾸지 않고도 교회에 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문화적 패턴을 강하게 고수하는 것의 부정적인 측면은 때때로 여성이 남성으로부터 기독교적 존중과 존엄성을 받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기독교인의 증언에 상처를 줍니다. 이것은 문화의 불완전한 개종으로 확인할 수 있는 많은 문화적 사례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사례는 모든 세계 문화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그리스도께로 회심하면 교정되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 문화의 모든 죄악된 패턴을 그대로 남겨두지 않습니다. 미국의 많은 인도 및 중동 교회에서는 성소의 다른 쪽에 남성과 여성이 앉습니다. 우리는 현지 토착 문화와 서구 선교사들의 가르침이 여성의 위치와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미국에는 '순수한' 중국계나 흑인 교회는 물론 소위 '백인' 교회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모든 문화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졌지만 타락했습니다. 우리가 모든 인종 집단을 '우리'의 이미지로 형성하고 가족과 교회에서 성 역할에 대한 우리의 정의를 고집하지 않도록 이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료 뉴스 레터

뉴스레터 보기

서구 밖에서 복음주의가 성장함에 따라 여성과 남성의 역할에 대한 논쟁과 논의가 광범위한 복음주의에서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을까요?

"복음주의"가 성경의 권위, 그리스도의 중심성, 회심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한 신앙 전통을 의미한다면 이미 서구 밖에서 성장한 것입니다. 오늘날 서구의 이러한 '복음주의자'는 전 세계 복음주의자의 약 30%에 불과합니다. 오그부 칼루가 말했듯이 "아프리카 기독교는 복음주의 기독교"입니다. 중국, 아프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라틴아메리카에서 성장하는 기독교 공동체(오순절교 포함)의 대부분은 위에서 언급한 설명에 따라 복음주의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많은 아프리카 독립 교회에서 비 서구 복음주의는 종종 독특한 가르침을 가지고 있지만 대체로 복음주의적이며 성에 대한 그들의 접근 방식은 문화적 규범을 따릅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여성의 위치는 개선되었습니다. 우리는 복음이 다양한 아프리카와 아시아 문화, 특히 여성의 관점과 역할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주목하고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교회에서 성 역할에 대한 논의의 대부분은 성경을 현재 문화적 성 역할에 적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서양 서적을 읽고 서양 기독교인의 말을 들어야 합니다. 성 역할과 같은 비본질적인 문제에 관해서는 서구 기독교인들은 예를 들어 이집트나 말레이시아 기독교인들이 교회론과 목회 및 설교를 형성하는 데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기독교인들은 경청하는 데 능숙하지 않습니다.

저는 싱가포르의 한 장로교회에서 목회할 때 노회에 안수를 받은 여성이 한 명뿐이었는데, 그 여성은 영국 출신이었습니다. 다음으로 안수를 받은 여성은 제 제자였는데, 제가 개척을 도운 교회의 담임 목사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수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외부의 '권위'가 아니라 성경 공부, 영적 은사에 대한 인정, 기도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모든 교단이 여성을 안수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집사와 장로로 봉사하고, 성경을 읽고, 가르치고, 교회를 개척하고, 성찬식을 집례하는 등 교회에서 대부분의 역할이 여성에게 개방되어 있습니다. 안수는 전 세계 모든 복음주의 교회에서 여성에게 개방되지 않은 유일한 직분입니다.

미국 교회는 남성과 여성의 역할에 접근하는 방식에 있어 세계 교회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성경적 신념을 지키면서 어떻게 연합을 추구할 수 있을까요?

안수를 받고, 설교하고, 성례전을 감독하고, 가르칠 수 있는 사람, 즉 교회론의 측면에서 세계 교회가 다양하다는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독교인들은 비본질적인 부분에 대해 다양한 결론을 내렸으며, 우리는 글로벌 교제가 제공하는 풍요로움을 은혜롭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일부 교회에서는 성경적 또는 전통적 이유로 여성의 예배 참여를 제한하기도 합니다. 그것은 여성의 특권이며, 여성이 존중받고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방법이 주어지는 한, 우리는 이를 존중해야 합니다.

이처럼 분열된 세상에서 서구의 기독교인들은 다수 교회로부터 겸손하게 배워야 하며, 성 역할과 같은 비본질적인 요소로 인해 우리를 분열시키지 말고 본질적인 것을 중심으로 더 깊은 일치를 추구해야 합니다. 세상은 은혜로운 기독교적 겸손을 통해 하나가 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 This article is also available in English español Português, and Français. See all of our Korean (한국어) cover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