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생각, 단어, 도와달라는 호소, 즉흥적으로 말하거나 책 내용을 몇 줄 낭독하거나 심지어 신음 소리도 기도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도가 입 밖으로 나온 후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조금 더 어렵습니다. 기독교 신학자들은 기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기도가 “이루어진다”고 말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오랫동안 논쟁을 벌여 왔습니다. 과학자들도 마찬가지로 논쟁을 이어왔습니다.

인디애나 대학교 사우스벤드의 교수인 심리학자 케빈 L. 래드는 최근 존 템플턴 재단에서 기도에 관한 광범위한 최신 연구를 조사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기도가 친밀한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40여 건의 심리학 연구를 살펴본 결과, 기도와 관계 개선 사이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그는”사람들이 대처 도구로서 어떤 형태의 기도를 하도록 장려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기도의 심리학'의 저자 래드는 여러 연구를 통해 '기도의 심리학: 과학적 접근』의 저자 래드는 연구자들이 기도가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발견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그들은 망원경으로 계속 엉뚱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었던 것이죠.

래드는 CT와의 인터뷰에서 기도 연구의 한계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기도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기도의 관행과 사람들이 기도하는 이유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면 기도를 마치 누군가가 결정적인 진술을 하거나 자신이 전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무언가를 하는 것처럼 생각하기 쉽습니다. 기도의 묘미는 세상에서 일어나기를 바라는 일에 대해 매우 적극적이고 단호하게 말하는 동시에 동시에 통제권을 포기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나는 이 걱정을 포기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이죠.

기도의 형이상학적인 핵심, 즉 하나님이 하시는 일은 과학이 접근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그것은 야구장에서 벗어난 것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로서 우리가 효과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것은 기도의 결과로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가입니다. 무엇이 사람들을 기도로 이끌까요? 기도할 때 무엇을 할까요? 그리고 기도 후에는 어떻게 행동할까요?

내가 이웃을 위해 기도하면 그 기도가 나에게는 영향을 미치지만 이웃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인가요?

그렇습니다. 이것은 많은 공격을 받아온 '생각과 기도'라는 개념에 바로 들어맞는 말입니다. 생각과 기도를 이웃에게 향하면 기도 자체가 무엇을 하는지는 볼 수 없지만 내가 무엇을 하는지는 볼 수 있습니다.

이웃을 위해 기도하면 그 이웃을 향한 나의 행동이 달라질까요? 옛 속담에 "마음은 하나님께, 손은 일터에"라는 말이 있듯이 말입니다. 이 두 가지가 함께 가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은 이웃을 위해 기도합니다.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습니다. 누가 실제로 이웃을 위해 무언가를 하나요? 누가 자신의 시간, 재능, 자원을 기부하고 있나요? 맞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연구할 수 있고 그것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같은 방식으로 기도하는 것은 아닙니다. . 모든 사람이 기도에 대해 같은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습니다그렇다면 연구자들은 기도를 어떻게 정의할까요?

표준적인 접근 방식은 참가자에게 기도에 대한 정의를 열어두고 “당신이 기도하고 있다고 말할 때 하는 행동을 한 다음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마음을 활짝 열어두는 것입니다.

개인마다 차이가 너무 큽니니다. 종교 공동체, 교회, 기도에 헌신하는 수천 명의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눠본 결과,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기도에 대해, 그리고 기도를 하는 이유에 대해 물어본 적이 없다고 말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영성의 본질에 대해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그들의 큰 두려움 중 하나는 자신이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기도에 대해 공부하게 되었나요?

기도는 항상 기독교인으로서 제 삶의 일부였습니다. 제 아버지는 연합감리교회의 목사입니다. 저는 신학교에 진학했고 신학교 훈련의 일환으로 신학교에서 일종의 비정형적인 경로인 교육 시험 서비스에서 시간을 보냈습니다. 친구들은 그리스어와 히브리어를 공부했고 저는 통계와 연구 설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죠.

박사 과정 중 첫 번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 그룹이었는데, 운동과 암 생존 후 자신을 위해 하는 일에 초점을 맞췄는데, 많은 사람들이 기도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이를 살펴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당시(지금으로부터 30년 전)에는 꽤 참신한 일이었습니다.

사람들이 기도를 과학적으로 연구한 지는 얼마나 되었나요? 그 프로젝트는 언제 시작되었나요?

기드온과 양털 이야기를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기드온이 양털을 내밀며 하나님께 “젖게 해 주세요!”, “마르게 해 주세요!”라고 기도했던 이야기를 기억하실지 모르겠습니다. 그것은 연구의 특징이 있습니다.

무료 뉴스 레터

뉴스레터 보기

좀 더 현대적인 과학적 접근 방식을 찾아보면 1800년대와 프랜시스 갤튼이 등장합니다. 그는 빅토리아 시대 영국에서 기도가 어떤 일을 하는 것이라면 기도를 많이 하면 더 많은 일을 하는 것이 틀림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다면 누가 기도를 가장 많이 할까요? 영국 교회는 항상 군주의 건강을 위해 기도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왕은 정말 건강해야 하겠죠! 실제로는 그렇게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그 아이디어는 오랫동안 격렬한 기도 게이지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당시 사람들이 생각하는 방식은 사람들이 기도를 하고, 기도가 입술이나 마음에서 나온 다음 형이상학적인 일이 일어나고, 그것이 군주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 중간 부분에서 당황하게 됩니다. 형이상학적인 질문이 나오니까요.

결국 그런 접근 방식은 인기가 없습니다. 형이상학적인 것을 측정하려다가 실패하면 형이상학적인 것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벽에 부딪히게 되죠. 누락된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문제의 일부도 측정의 문제일까요? 과학이 측정에 접근하는 방식으로는 기도를 측정할 수 없는 것 같네요.

맞습니다. 생각해 보면 흥미롭습니다. 갤턴이 가정했던 것 중 하나는 기도를 많이 할수록 더 좋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어떤 종교적 전통에 들어가서 본문을 파헤쳐 보면 더 많은 것이 더 좋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기도는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바알의 선지자들이 엘리야와 경쟁하듯 불을 내려달라고 기도하거나, 니느웨가 멸망하는 것을 보고 싶었지만 하나님이 그렇게 하지 않으신 요나처럼 성경은 과도한 기도가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을 많이 이야기합니다. 기도를 많이 한다고 해서 반드시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교회마다 기도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것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과학적으로 기도는 이런 일을 한다"고 말했는데도 효과가 없다면 기도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기도에 관한 많은 과학 연구의 교활한 속내입니다. 우리는 피해자를 비난하고 있습니다.

종교적 텍스트로 돌아가면 기도에 대해 그렇게 말하지 않습니다. 기도가 좋은 이유를 설명하는 데는 훨씬 더 미묘하고 복잡하며, 우리가 볼 수 있는 효과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기도를 연구하면 사람들이 기도를 다르게 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 있나요?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기도하는 방식이 한 가지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언어의 측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몸을 사용하는 방식도 한 가지 방식이 아닙니다. 사람들이 기도하는 방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이 기도하는 방식은 무수히 많습니다. 저는 사람들이 그 점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여러분의 기도가 하나님께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찰나의 생각이라면 어떨까요? 그것도 기도에 포함되나요? 글쎄요, 일부 신학자들은 그렇다고 말할 것 같습니다.

[ This article is also available in English Português, and Français. See all of our Korean (한국어) coverage. ]